본문 바로가기

송죽리 고분 벽화 백구 아래 벽화들은 황해도 연탄군 송죽리 고분 벽화들로써 2002년 10월 8일 부산대학교에서 공개된 것들이라고 합니다. 4~5세기경 고구려 고분 벽화 호랑이 그림 하얀 개 이 개는 지금 무덤을 지키고 있는 중이라고 합니다. 귀가 누운 벅구입니다. 부산대에서 공개된 6장의 벽화 사진들 속에는 흰개와 붉은 개도 같이 있었다고 하는데, 붉은 개 사진은 인터넷에서 찾아볼 수가 없네요. 더보기
풍산개 바로알기[1부]-고구려의 개들 [풍산개에 대한 오해와 편견] 풍산개에 대해 애착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잘못 알고 계신 분들이 너무 많아 이 글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많는 분들이 '풍산개는 털이 길고 덩치가 작고 백구이다'고 단편적으로 알고들 계시는데, 제가 그동안 풍산개에 관심을 갖고 나름대로 공부를 해보니 그것은 잘못된 정보에 따른 오해와 편견입니다. 그동안 제가 알아본 바로는 '풍산개도 진돗개와 거의 똑같은 생김새의 우리나라의 토종개이고 풍산개가 진돗개보다 덩치가 더 클 뿐이다. 그리고 풍산개도 진돗개와 마찬가지로 백구가 주류였던 것이 아니라 황구 재구 검둥이 호구 같은 유색견들이 주류였다!'입니다. 그런데도 우리나라(남한)에서 풍산개에 대하여 오해와 편견을 갖게 된 것은 1999년 북한에서 서울대공원으로 보내준 네마리와 2001년.. 더보기
과천서울대공원 풍산개의 실태조사(2003.2.24) 과천 서울대공원 풍산개의 실태조사 내용 ■ 조사개요 : 남한의 풍산개 역사 10여년, 그 동안 풍산개의 숫자도 많이 늘어났고, 풍산개 협회도 대 여섯 개 쯤 생겨났다. 애견 전람회장마다 풍산개가 20~30여 마리씩 출전해 우수한 풍산개를 선발하느냐 심사위원이 땀을 흘린다. 이러한 양적인 팽창이 과연 질적으로도 이어지고 있는가? 너무 성급하게 이론에 맞게 풍산개의 외모를 다듬어 온 것은 아닌가? 의문이 들기도 한다. 풍산개 역사 10년은 짧지도 길지도 않다. 그 동안 잘못되어 왔다면 지금쯤 바로 잡으면 된다. 아직 되돌아오지 못할 다리를 건너지는 않았다. 지난 10여 년 간의 풍산개의 역사를 되돌아보고 현재의 위치를 확인해보자는 의미에서 순종 및 원형으로 판단되는 서울대공원 풍산개를 중심으로 작은 자료를 .. 더보기
코리아풍산개농장 풍산개들 아래 동영상의 개들은 울산에 있었던 코리아풍산개농장의 풍산개들입니다. 풍산개 황포 올린 날짜 : 2008.05.01 코리아풍산개농장 전경 올린 날짜 :2008.05.01 이 동영상에 보면 많은 풍산개들이 나오는데 이제까지 제가 봐왔던 최고의 풍산개들입니다. 이렇게 좋은 풍산개들이 있었을 줄 상상도 못했는데... 이 이야기는 다음에 자세히 하겠습니다. 더보기
풍산개-북한 중앙텔레비젼 1998년 10월 1일 북한 중앙텔레비젼에서 방송된 [풍산개]입니다. 동영상으로 바로보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