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개 진돗개 강아지 분양(완료=경북 청도) 경북 청도 풍산개 랑이가 또 강아지들을 낳았군요. 이번에는 진돗개하고 교배하여 낳은 강아지들이라고 합니다. 강아지들 생일은 2018년 1월 9일이고 2월 20일 현재 강아지들이 태어난지 41일째 되었네요. 강아지들이 3마리 태어났다고 합니다. 랑이는 이번이 세번 째 출산인데... 강아지들이 세 마리만 나와서인지 퉁실퉁실 하네요... 어미견 랑이 입니다. 아가씨는 이 댁 따님이고요. 이 랑이라는 풍산개 암컷을 복실이 주인이 며칠 데리고 있어봐서 아는데... 참 착하고 순합니다. 원문출처: https://blog.naver.com/gangbin2/221211892226 랑이는 경북 청도에서 정말로 그 집안의 가족처럼 사랑받고 살고 있는 풍산개랍니다. 랑이 주인댁은 대구에서 사시다가 청도로 이사오셔서 전원생활.. 더보기 풍산개 복실이 혈통 조작사건? [2부] [네이버밴드 풍산개 풍사모 운영자가 올린 글들] 근래 인터넷에서 [풍산개 복실이]를 검색하니, 메인화면에 “[풍산개분양] 부산 복실이 사건~~”이라고 떠오르는군요. 클릭하여 그 글 내용을 살펴보니, 이런 내용들입니다. http://blog.naver.com/qkranstnr66/221196983936 그래서 [풍산개 복실이 혈통조작]으로 검색해보니, “[풍산개강쥐분양] 부산 복실이 견주의 날조작 사건~~”이라는 글이 또 메인 화면에 또 떠오릅니다. 그 내용도 확인해보니, 이런 내용이고요. 원문출처 : http://blog.naver.com/qkranstnr66/221072231260 먼저 글은 2017.8.12. 인터넷에 올라온 것이고, 나중에 글은 반 년 정도 지난 2018.1.30. 올라온 것인데, .. 더보기 풍산개 복실이 혈통 조작사건? [1부] 요 근래 인터넷에서 [풍산개 복실이]를 검색하니 메인 화면에 이런 글들이 올라옵니다. 그리고 위 사건들(?)에서 부산 복실이 견주가 바로 저 용하 윤승환입니다. 글 내용들을 살펴보니... 예전 인터넷 다음 카페에서 [풍산개 이야기] 카페지기 바람돌이였다가 근래에는 네이버밴드 [풍산개 풍사모]를 운영하고 있는 최사장이 인터넷에서, 저를 개 혈통을 속여서 순진한 애견인들을 상대로 교배비와 거기에서 태어난 강아지들의 분양으로 부당이득을 챙기는 아주 교묘하고 계획적이고 지저분한 사기꾼으로 만들어놨군요. 저는 이런 글이 반년쯤 전에 인터넷에 올려놨다는 사실을 최근에야 알았는데, 그것을 검색하다 보니, [한울풍산개동우회] 카페지기 주명이도 저를 자기들 카페에서 사기꾼으로 만들어놨고요. 네이버밴드 [풍산개 풍사모] .. 더보기 풍산개 '늑대를 가장 많이 닮은 개' 풍산개 '늑대를 가장 많이 빼닮은 개' 경향신문 윤희일 선임기자 입력 2018.01.10. 토종견이 야생성 더 강해 한국 토종개가 다른 외국 개에 비해 야생성이 더 강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풍산개(사진)는 야생늑대의 유전적 특성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종으로 분석됐다. 농촌진흥청이 진돗개·풍산개·경주개동경이 등 토종개를 포함한 개 33품종 2258마리의 DNA를 분석·비교해보니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연구결과 진돗개·풍산개 등의 토종개는 다른 외국 개 품종에 비해 갯과 야생종인 늑대·코요테 등의 유전자형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박범영 농진청 축산생명환경부장은 “진돗개, 풍산개, 경주개동경이 등 토종개는 다른 나라의 개에 비해 늑대·코요테와의 ‘근연관계’가 가장 가까운 것으로.. 더보기 진돗개 풍산개 동경이... 토종개들 유전적으로 공통점 많다 [이슈 속으로] 늑대가 나타났다 … 알고보니 진돗개·풍산개·동경이 [중앙일보] 입력 2018.01.20 00:42 개도 국적이 있다. 국내에서 반려견으로 널리 사랑받는 요크셔테리어와 몰티즈는 각각 영국, 이탈리아 출신이다. 시츄는 명나라 황제에게 사랑을 받았다고 전해지는 중국 개다. 일본 시바견은 관리가 쉬워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중앙아시아 등서 한반도로 이동 개의 조상과 유전 형질 가장 근접 풍산개가 야생적 기질 가장 강해 임실 오수개, 주인 구한 설화 주인공 불개는 늑대·누렁이 합쳐 탄생 해남개·거제개는 문헌에만 존재 진돗개 네눈박이의 모습. 국제 단체에는 황구, 백구 뿐 아니라 네눈박이, 흑구, 재구, 호구가 진돗개 품종 표준으로 등재됐다. [사진 농촌진흥청] 한국 토종개의 특징은 뭘까.. 더보기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57 다음